본문 바로가기
과일의정석! 과일의 모든것/기타과일정보

지옥의 냄새 하지만 천상의 맛, 두리안!! 두리안 맛과 냄새 이야기

by 과일의 정석 2021. 1. 17.
반응형
728x170

 

안녕하세요 
과일의정석 입니다

 

 



이번 과일 포스팅은
과일의 황제, 두리안 이야기 입니다

 

 

 

 

 

 

 

 



두리안은 좋아하는 사람은 아주 좋아하고
싫어하는 사람은 아주 싫어하는
매우 독특한 과일이죠?

 


여러분들은 어느 쪽이신가요?


저는 사실 불호에 가깝습니다 ^^;
외국인 친구들이 두리안은 

현지에서도 비싸고 귀한 과일로 친다고
저에게 많이 소개해주며 사주었는데
왜 제입맛에는 양파맛이 나는걸까요?
^^;
먹기 힘들정도, 참기 힘들정도의 향과 맛은 아니지만
계속 생각나고 먹고싶은 향과 맛 또한 아닌거 같아요

 

 

 

 

 



두리안은 무려 과일의 황제라고 하죠


특유의 냄새가 특징인 과일로
천국의 맛과 지옥의 냄새를 가졌다고 표현합니다
냄새를 맡으면 엄청 고약한거 같은데
입에 넣으면 의외로 달콤하고 부드러운 식감에
반하는 사람들도 많은 과일!

 

 



두리안은 모양 또한 매우 독특합니다
파인애플은 아닌데 매우 유사한데요
껍질에 가시가 뾰족하게 있어서
맨손으로 손질을 힘들고
보통 단단한 연장을 사용하여 깨뜨려 
속의 노란 과육을 결에 따라 잘 잘라서
쏘옥 꺼내 먹게 됩니다

 

 

 

 

 

 



두리안의 속 과육은 노란 컬러에
굉장히 부드럽고 기름진 편입니다
아보카도와 비슷하달까요?



두리안은 아열대 기후에서 잘 자라서
보통 열대우림지역, 인도, 말레이시아 등에서 자랍니다
최근에는 두리안이 다양한 형태로 수입되고 있어
한국에서도 냉동 두리안 등 만나실수 있죠

 



두리안은 보관일이 약 3일, 짧은편으로
밀폐 용기에 담아서 냉장보관 하셔야 합니다

 

 

 



두리안의 칼로리, 영양소, 효능

 

 


두리안은 100g당 칼로리가 약 140kcal로
과일중 열량이 높은 편이라
다이어트, 체중조절 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말씀드릴수 있답니다



하지만 두리안은 그만큼 영양분, 열량이 풍부하여
에너지 보충으로 안성맞춤인 과일입니다
실제로 옛날부터 아프거나 허약한 사람에게
두리안을 먹여 

원기회복, 기력보충을 시켜주었다고 합니다

 


두리안은 그밖에 필수지방산, 항산화성분,
항염성분들이 가득 든 과일이라
우리 세포를 더욱 튼튼하고 젊게 유지시켜주고
염증 예방 및 완화, 
혈관 질환, 심장질환 등을 예방 및 완화시켜줍니다

 

 

 


두리안의 냄새

 

 


두리안은 도대체 어떤 냄새이길래
이렇게 악명이 높을까요?


가스냄새, 양파 썩는 냄새, 무언가 삭힌냄새, 암모니아 냄새 등
개개인마다 상당히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죠
저같은 경우는 양파가 썩은 냄새 같다 라고 생각했어요

 


실제로 두리안은 이렇게나 냄새에 악명이 높기 때문에
동남아 현지에서도 생 두리안 경우
관리를 매우 엄격하게 하는 편이라고 해요
공공시설 반입금지 물품으로 지정하고 있고
싱가폴에서는 두리안을 지하철에 들고 타면
벌금을 물어야 하기도 하죠 (약 100만원)

 

 



두리안의 맛

 


두리안은 그럼 어떤 맛이길래
냄새는 고약하나 한번 맛보면 계속 생각나는
천상의 맛이라고 하는 걸까요?


사실 두리안은 매우 호불호가 갈리는 과일이에요
누구나 다 한번 먹어봤다고 해서
두리안을 좋아하는건 아닙니다

 


바로 제가 여기에 해당되죠 ^^;
저는 두리안 맛 또한 양파같다고 느껴집니다
양파, 파 종류를 먹었을때의 맛이랄까요
그다지 달콤함을 모르겠어요 ㅎㅎㅎ


하지만 식감은 매우 크리미한 과일,
부드럽고 입안에 넣으면 

사르르 놓는다는 것에는 동의를 합니다



제가 먹어본 결과 
두리안은 아보카도, 바나나와 함께
쉐이크를 해서 먹으면 가장 맛있더라구요


두리안 맛이 궁금하신 분들!

처음 도전해보고 싶으신 분들!

 

너무 고약할거 같다는 생각은 버리시고

저처럼 쉐이크 형식으로 처음 드셔보시기 바랍니다

생과육으로 처음 맛보게 되시면

바로 안티팬 되실수도 있어요 ㅎㅎㅎ

저도 아직 두리안 생과육은 먹기 힘들더라구요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뵐게요 ^^

 

 

 

 

 

반응형
그리드형